사물궁이 잡학지식
원제: 새끼 길고양이를 왜 만지면 안 될까?
이 영상은 수의사 신동휘님이 투고한 원고를 바탕으로 재구성되었습니다.
고양이는 영역동물이기에 일정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가며 번식하기에 살다보면 종종 새끼고양이를 보곤 한다. 새끼 고양이들은 호기심이 많아 사람에게 먼저 접근하기도 하고 움직임이 둔해 만지기도 쉬운데 결론은 만지지 않는 것이 좋다. 이는 사람과 고양이 양측입장을 위해서이다.
사람입장에서의 고양이
사람입장에서 보면 고양이는 그루밍하고 대소변을 처리하는 모습으로 깔끔한 이미지가 형성되어있다. 하지만 길고양이에게는 진드기나 벼룩같은 외부기생충과 곰팡이와 같은 여러 병원균이 있을 수 있다. 사람의 경우 고양이와 달리 털이 조금 있는 대신에 각질층이 두꺼워 진드기나 벼룩이 붙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링웜이라고 하는 고양이피부사상균증에 감염될 경우 문제가 생긴다.
링웜은 습하고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감염되는 인수공통감염성질환(동물과 사람사이에서 전파되는 질환)이다. 링웜은 사람도 감염될 수 있으며 감염시 붉은 반점과 가려움증이 동반한다. 그렇기에 키우는 고양이가 링웜에 관찰됐다면 주인도 함께 치료받아야한다.
치료의 경우 항진균제 약물을 복용하면 낫긴하나 굳이 감염의 위험을 감수하며 만질 이유는 없다.(링웜은 탈모도 동반한다)
그리고 고양이는 예측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호기심으로 다가와 혼자 놀라 물거나 할퀼 수도 있다. 그러면 광견병과 고양이 할큄병 등이 발생할 수 있고 그 질환들은 시신경망막염, 뇌병, 파리노안선증후군, 골수염 등의 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고양이입장에서의 사람
사람이 새끼 길고양이를 만져 그 냄새가 배면 어미 고양이가 새끼 고양이를 찾지 못하거나 찾더라도 낯선 냄새로 인해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고양이는 모성애가 강한 동물이다. 어미 고양이가 자리를 비웠을 때는 주변을 탐색하거나 먹이를 구하러 간 것이고 고양이는 행동반경이 상당히 넓다. 그러니 새끼 고양이가 혼자 있다고 해서 걱정할 필요는 없다. 종종 새끼 고양이가 찾아왔다고 간택당했다는 등 데리고 가거나 만지는 것은 어미와 생이별을 시키는 행동일 수 있다.
불쌍해보인다고 츄르 등의 간식을 주는 행동도 피해야한다. 대부분의 간식은 새끼 고양이가 먹기에 염분이 과다한 편이다. 고양이는 깨끗한 식수를 찾기가 쉽지 않고 평소에 물을 많이 찾는 동물도 아니기에 염분이 많은 음식은 자칫 영향불균형이나 신장결석, 방광염 등의 질환을 앓게 할 가능성이 있다.
결론
고양이는 고양이들의 생태계에서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니 도움을 주는 행동이라고 생각할 지라도 사실은 도움을 주는 행동이 아닐 수 있다.
유튜브 댓글
냥줍이 과연 간택일까. 납치일까.
자칭 길냥이 “집사” 들한테 필수로 시청시켜야하는 영상
꼭 봐야할 사람들이 보고 받아들이면 좋겠네요....
코멘트: 멋대로 판단하고 남을 위한 행동이라고 생각하는 건 사실 민폐일 수 있다
#길냥이
#고양이
#집사
#간택
남자에게 꼭G가 있는 이유는 뭘까? (0) | 2022.09.16 |
---|---|
창문에 테이프를 X자로 붙여 놓는 건 정말 효과가 있을까 (0) | 2022.09.15 |
물음표는 왜 ? 이런 모양으로 생겼을까 (0) | 2022.09.13 |
영화관 이거 모르고 가면 낭패..반값으로 즐기는 영화관 꿀팁 9가지!! (0) | 2022.09.06 |
왜 미국만 이상한 단위를 사용할까(피트?인치?마일?) (0) | 2022.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