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류 역사상 가장 완벽했던 음식

동영상(지식정보 전달)

by 세상 온갖 잡지식 2022. 5. 11. 19:00

본문

728x90
반응형

pood

우리는 꿀이라는 단어를 꿀잠, 꿀알바 등의 좋은 것의 가치를 나타낼 때 사용하고 서양에서도 사랑하는 대상을 지칭할 때 honey라는 애정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유럽에서 honey가 애정의 뜻으로 사용된 것은 14세기 중반 혹은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

 

꿀이 만들어지는 과정

 

꿀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다.

 

1. 밖의 일을 담당하는 일벌들이 꽃에서 설탕물을 빨아 집으로 가져온다.

 

2. 벌집안의 일을 담당하는 일벌들이 설탕물을 마셨다 뱉었다 20분에 80회 정도 반복한다.

 

3. 이 과정에서 설탕물은 체내에서 더 이상 분해될 필요가 없는 포도당과 과당으로 변한다.

 

4. 이후 벌들이 빠르게 날갯짓을 해 수분을 20%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한다.

 

5. 여기에 일벌들은 밀랍과 꽃가루를 섞어 꿀이 담긴 방을 밀봉한다.

 

 

 

꿀의 특징

 

이렇게 완성된 꿀은 쉽게 변질되지 않아 영구보존이 가능하다. 달콤함은 인류에게서 찾기는 쉽지만 자연에서 찾기는 어렵다. 때문에 꿀은 인류가 최초로 먹었던 음식 중 하나이자 신의 선물 같은 신비로운 선물로 취급되었다.

약 1만 년 전, 스페인의 동굴벽화에는 벌집에서 꿀을 채취하는 최초의 기록이 나타나며 고대 이집트에서는 태양신 라에서 나온다 믿었고 그리스에서는 크로노스를 피해 제우스를 키울 때 먹이던 것이 양젖과 꿀이었다. 성경에서도 하나님이 가라고 한 가나안 땅은 젖과 꿀이 흐르는 곳으로 묘사된다.

스페인의 동굴벽화

옛날 사람들이 생각했던 꿀

 

이런 꿀이 벌의 토사물이라고 믿고 싶지 않았던 사람들은 출처를 매우 신비로운 것으로부터 찾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꿀벌은 밀랍은 만들어내지만 꿀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꿀은 공중에서 떨어지는데 주로 별이 떠오르거나 무지개가 땅 위에 머무를 때 많이 떨어진다'라고 말했다 기록되어있다.

로마의 박물학자 플리니우스는 '꿀을 별이 내뿜는 침. 하늘이 흘리는 땀'으로 표현했으며 하늘에서 떨어지는 꿀은 매우 신성한 상태인데 땅으로 떨어지며 오염되어 벌들이 꿀을 먹고 뱉어내 오염이 더 심해진다라고 탄식했다.

이 혼동은 근대까지 이어졌다. 생물 분류학의 아버지 칼 폰 린네가 1758년 꿀벌에 붙인 이름은 Apis mellifera로 뜻은 꿀을 옮기는 벌이다. 근데 양봉업을 하는 형제를 두고 있었던 린네는 실수를 깨닫고 꿀을 만드는 벌이라는 뜻으로 Apis mellifica로 명명하려 하였지만 그 전이 고착화되어 아직도 Apis mellifera로 쓰이고 있다.

 

 

예전 꿀이 사용된 방향

 

꿀은 조미료로 많이 쓰였다. 과일시럽 등도 있었지만 깔끔한 단맛으로는 꿀이 원탑이었다. 꿀은 고대 로마 시절에 고기를 보존하는 데에도 쓰이고 거의 모든 음식에 들어갔으며 유럽에서는 악마가 도사리는 특정한 음식을 정화하는 데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꿀의 쇠퇴

 

설탕의 대량생산으로 꿀은 상대적으로 쇠퇴되기 시작한다. 대항해시대를 기점으로 흑인의 노동력을 이용한 사탕수수 대농장과, 19세기 사탕무를 통한 설탕 생산의 발견을 시작으로 설탕의 가격이 떨어지니 최고의 감미료로 평가되었다.

이외에도 꿀은 음식으로서 너무나 완벽하여 꽃에 따른 특유의 아로마향, 비타민, 벌의 몸에서 나온 효소 등을 포함하여 설탕에 비해 요리에 쓰기 까다롭다. 수십 년간 꿀을 연구했던 한 과학자는 꿀의 아로마 성분은 끓는점이 낮아 쉽게 사라져 꿀은 벌집에서 땄을 때 가장 맛있다고 했다.

 

 

유튜브 댓글

꿀벌은 ㄹㅇ 대단한 생물인 듯 인간은 배워서 음식을 만들지만 벌은 본능만으로 재료 채취, 가공, 요리, 보존까지 해버림.. 그것도 모든 면에서 완벽하게

 

게다가 사회성도 높고 건축도 잘함ㅋㅋ

 

진짜 자연 재료에서 꿀만큼 쨍한 단맛을 내는 건 찾기 쉽지 않았을 듯. 신성시될만한 맛인 거 같다

 

코멘트: 미숫가루에 설탕 대신 꿀 넣어먹는 게 진짜 개꿀이었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Z2vdWBO6N2c&list=LL&index=25

#pood

#꿀

#설탕

#벌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