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드림
50도를 육박하는 더위와 연평균 250mm도 안 되는 강수량, 어느 곳은 연간 강수량이 20mm에 달하는데 어떻게 물이 모여 오아시스가 만들어지는 것일까?
오아시스의 정의
흔히 오아시스하면 물이 고인 샘이나 호수를 떠올리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사막 내에 고인 물을 중심으로 주변에 만들어진 농경지와 거주지를 모두 포함하는 단어이다. 이집트 사하라 사막에는 시와(Siwa)나 바하리야(Bahariya)라고 불리는 오아시스 도시가 있다.
여기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추야자, 밀, 옥수수 등을 농작하며 살아간다.
그럼 농사를 지으려면 물이 많이 들어갈 텐데 사막에서 이만한 샘물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오아시스의 물이 생기는 원리
자연적으로 오아시스는 두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샘 오아시스
첫째는 샘 오아시스이다. 이는 사하라 사막 지역에 많이 분포하는데, 원인은 지하수이다. 사막이니 땅은 메말랐지만 지하에는 물을 품고 있는 지층인 대수층이 많아 과거 수만~수천 년간 내린 비가 땅에 침투해 거대한 지하수를 이루게 된다. 그중에는 깊이가 50m가 넘는 대수층도 존재한다.
샘 오아시스는 주로 고도가 낮은 지역에 만들어지는데 깔때기 가운데로 지하수가 모인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사하라 사막의 바하리야 오아시스는 고도가 90~100m 정도로 200m정도인 주변보다 저지대에 있으며 시와 오아시스 또한 해발고도가 -10m 안팎으로 약 100m 정도의 주변보다 고도가 수십 미터가 낮다.
물론 지하수가 많다고 오아시스는 영원하지 않다. 거대한 모래폭풍이 오아시스를 오염시킬 수도 있고 오아시스를 덮어버릴 수도 있다. 때문에 오아시스에 사는 주민들은 모래피해를 줄이려 오아시스 주변에 대추야자 같은 큰 나무들을 빙 둘러 심는다.
산록 오아시스
중국 북서부의 타클라마칸 사막에 위치한 오아시스는 주변 산맥의 영향으로 만들어졌다. 타클라마칸 사막의 위쪽에는 톈산 산맥, 아래로는 쿤룬 산맥에 둘러쌓여있어 비구름이 이 거대한 산맥을 넘지 못하고 많은 비를 뿌려 빗물이 산맥 아래 지층을 통과해 오아시스를 만든다.
그래서 마을들은 산맥 안쪽 기슭에 형성되어있고 마을의 길은 옛날 사막을 건너기위해 반드시 지나가야 하는 실크로드였으며 이 마을 사람들은 웬만한 도시보다 큰 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다.
중국의 역사서 <한서>에서는 Kuqa라는 마을에는 약 8만명의 인구(당시 중국 수도 장안의 1/5)가 살았으며 서방 36개 왕국 중 가장 컸다고 기록되어있다.
유튜브 댓글
진짜 사막하면 메마른 이미지인데 또 동시에 오아시스가 같이 떠오르는게 신기한 것 같아요. 뭔가 사막의 오아시스하면 당연하듯이 여겼는데 막상 그 이유는 몰랐어요 그런데 이렇게 영상을 통해서 설명해주셔서 너무 유익했습니다.
오아시스라는 단어자체가 청량감이 느껴짐
코멘트: 최근 역사나 지리쪽을 많이 보는데 하나하나가 수천 수만년동안 만들어진 복잡한 구조를 가졌다. 신기하넹
https://www.youtube.com/watch?v=Ix5QRu6uWgA&list=LL&index=3&t=10s
#사막
#오아시스
#지하수
선진국엔 왜 주민등록증과 주민등록번호가 없을까? (0) | 2022.06.01 |
---|---|
지구에서 가장 비싼 자연산 음식, 트러플 (0) | 2022.05.22 |
인류 역사상 가장 완벽했던 음식 (0) | 2022.05.11 |
석탄이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는 이유 (0) | 2022.05.04 |
사막에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면 효율이 엄청나지 않을까 (0) | 2022.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