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브런치
대영제국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아는가? 그건 영국보다 맛있는 음식과 식재료를 찾다가 만들어진 결과다. 라는 말을 미국의 작가 마거릿 홀시가 남겼다. 윈스턴 처칠 또한 '영국은 전 세계에 여러 먹을 거리를 공급하고 있다. 조리하지않고' 등의 자학적인 개그를 했고 이건 저명한 인사들도 한번씩 남발하곤 한다. 이렇게 영국 음식에 대한 악평은 하루이틀일이 아니다.
물론 고든 램지나 제이미 올리버같은 세계적인 유명셰프들이 있으니 믿겨지지 않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근데 고든 램지는 프랑스 요리를 하고 제이미 올리버는 이탈리아 요리를 한다는 점을 알았으면 한다. 대체로 국가가 발전하면 음식도 발전하는데 영국만 이상하게 전혀 무관한 길을 걸었다.
영국음식이 맛없는 이유
영국의 지역적 특성
음식이 발전하려면 다양한 식재료가 필수인데 영국 특성상 연중 비가 내려 일조량이 적은데다가 기온도 낮아 농작물 재배가 힘들다. 채소도 10가지 이내고 밀의 품종도 좋지 않다. 일본과 달리 섬나라인데도 생선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랍스터 또한 한 때 죄수들의 식량으로 썼었던 만큼 바다에서 나는 건 대부분 찬밥 신세였다. 물론 북해가 거칠기에 어업이 어려웠던 이유도 있다.
그나마 목초지가 풍성하고 평지가 많아 목축은 일찌감치 발전했다. 그러다보니 영국 귀족들은 풍성한 소고기를 먹는데 만족했고 고기가 흔하다보니 몸통만 먹고 내장이나 고기뼈 등을 이용한 음식의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바람둥이의 대명사인 카사노바는 "어떻게 이런 음식을 먹을 수 있는 건지 영국 사람들, 참 대단하다"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아이들에게 혹독했던 영국
19세기 빅토리아 시대까지 영국에서 아이들에게 먹이는 음식은 거의 아동학대 수준으로 당시 자녀교육의 교과서라 불렸던 <어머니들이 읽어야 할 자녀양육 지침서>에 따르면 아이들에겐 말라비틀어진 빵과 감자를 주는 걸로 충분하다고 했다. 감리교를 창시한 존 웨슬리 또한 "아이들은 악한 존재라 그 본성을 죽이기 위해 좋은 음식을 주면 안된다"라고 가르쳤다. 이러다보니 아이들은 맛에 대해 무감각해졌다.
시대가 망친 영국음식
결정적인 두가지로 청교도 혁명과 산업혁명을 들 수 있다. 청교도 정신은 한마디로 금욕주의였다. 극장, 술집, 서커스 등을 정신을 좀 먹는 향락이라 평하며 모두 폐쇄했고 여기엔 음식도 포함이되어 맛을 탐하는 것 또한 금했다.
18세기 산업혁명이 결정타를 날렸다. 17세기 흑사병이 돌며 많은 사람이 죽어 농부들의 몸값은 천정부지로 뛰었고 귀족들은 농사를 포기하고 양을 키우게 된다. 농부들은 일자리가 없어 도시로 이주했고 저임금 노동자로 일하게 된다. 이들은 하루 14~5시간 노동은 보통이었고 요리할 시간도 없었으며 설혹 있었더라도 노동자 임금으로는 땔감을 살 엄두도 안 났다. 그렇다고 거리에서 공원에서 나무를 베면 교수형이었다. 이러다보니 그냥 쉽고 빠르게 먹을 수 있는 음식만이 남게 되었다.
상류층들 또한 굳이 맛없는 영국음식이 아닌 프랑스와 이탈리아 음식을 먹으며 영국요리는 거의 종지부를 찍는다.
저임금 노동자들은 두툼한 밀가루 반죽을 입힌 생선튀김과 감자튀김으로 이루어진 피시 앤드 칩스를 주로 먹었다. 길거리를 거닐며 먹을 수 있고 칼로리도 높아 노동자들의 음식으로는 이만한 게 없었다. 미식가의 어원사전에 의하면 피시 앤드 칩스가 생긴 원인은 생선튀김은 유대인 이주민에 의해 런던에 처음 소개되었고 감자튀김은 직물공업도시가 많았던 영국 북서부 랭커셔 주에서 먹기 시작해 19세기 중반 이 두개가 만난 것이라고 한다.
프랜치프라이를 칩스라고 부르게 된 건 영국작가 찰스 니킨스의 소설 '올리버 트위스트(1839)'때문이다.
자국음식발전이 필요없었던 영국
물론 영국음식은 맛없지만 영국에 있는 음식점은 맛있다. 영국은 해가지지않는 국가를 건설하며 다양한 국가의 맛있는 요리를 들여왔기 때문에
싸고 맛있는 음식이 세계각국에서 대거 들어오다보니 마지막 남은 영국요리들은 이제 사장되게 된다.
피시 앤드 칩스가 발전하게 된 과정
19세기 후반 저인망 어선이 발명되며 이전보다 더 많은 생선을 잡을 수 있었고, 철도의 발달로 공급이 원활해졌으며, 종교가 한몫했다. 영국에서는 16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금요일에 고기를 먹으면 사형에 처할 수도 있었기에(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힌 날이 금요일이라는 믿음이 있어 고기를 삼가고 속죄하는 날) 고기 대신 생선을 먹는 풍습이 있었다. 이 풍습의 영향인지 영국에선 금요일에 판매되는 모든 포장음식의 20%가 피시 앤드 칩스이다.
유튜브 댓글
10년 전에 런던 여행 갔었는데 이미지와 다르게 음식들이 너무 맛있어서 놀랐습니다. 왜 그런가 돌이켜 생각해보니 피시 앤드 칩스를 제외하고 영국 음식을 먹은 적이 단 한 번도 없었습니다,,
독특하네요. 어쩐지 영국 런던에 가서 전통음식이라고 먹은 스테이크는 생각보다 별로였거든요. 메쉬드 감자가 제일 맛있었습니다. 영국은 알려진 것에 비해서 식문화가 터무니 없이 비참하게 느껴집니다. 덕분에 많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도 10년전 영국 여행 갔었을 때 현지인들 줄서서 먹은 피쉬앤칩스 맛집 가봤습니다. 잔뜩 기대하고 먹었는데 너무 맛없어서 놀랐습니다. 한국에서 파는 집에서 해먹는 생선까스가 더 맛있는 것 같더라구요. 그때는 대영제국 음식이 이정도 수준이란게 놀랐는데 선생님 영상 보니깐 이제 좀 이해가 됩니다.
코멘트: 이게 참 시대적 배경이 참 영향이 크다..ㅇ.ㅇ
https://www.youtube.com/watch?v=LFBsucaVpdI&list=LL&index=20&t=2s
#피시앤드칩스
#영국
#영국음식
군대에서 탄피를 잃어버리면 왜 목숨걸고 찾는 걸까 (0) | 2022.06.29 |
---|---|
생(生)맥주와 다른 맥주들은 뭐가 다른 걸까?? (0) | 2022.06.20 |
무한 긍정이 만들어낸 재앙 파이어 페스티벌 (0) | 2022.06.15 |
건조기는 왜 통돌이로 만들지 않을까? (0) | 2022.06.14 |
왜 사람 눈만 흰자위(공막)가 잘 보이는 걸까?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