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엔저여도 일본 투자하지 마세요 (ft. 김광석 교수 5부)

동영상(시사경제정보 전달)

by 세상 온갖 잡지식 2022. 6. 18. 15:14

본문

728x90
반응형

전인구경제연구소

지금 일본 금리는 뭐 금리 올릴 생각도 없고 물가도 안 오르고 엔저도 장난아니라 무슨 나라인가 싶다.

일본은 잃어버린 40년을 겪으며 코로나-19상황인 2021년까지 디플레이션이 우려됐던 나라이다. 경제성장률이 0%대로 성장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 지금이 7년만에 최고물가이다. 그전까지만해도 물가상승률도 0~1%대를 유지했기에 선진국들의 물가상승목표률인 2%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수치였던 것이다. 그러니 지금의 인플레를 긍정적으로만 생각한다면 디플레의 고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라고 보는 시각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평소 워낙 낮은 수치의 물가 상승이다보니 지금의 인플레도 인플레라고 생각되지 않을 수준인 것 같다.

 

한국도 19,20년에 디플레현상에 빠져있다가 21년도에 소비자물가 2.5%를 찍으며 착한 인플레이션하다가 갑자기 공급망 병목 현상이 장기화되며 물가 현상에 위협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일본과 한국은 상황이 다르다.

 

 

그럼 경기가 살아나니 일본 주식을 사야되는가?

 

엔저에다가 증시도 많이 빠졌다보니 괜찮아보일 수도 있겠지만 일본 경제가 역동적인 경제가 아닌 점을 인지해주었으면 한다. 높은 성장률을 가진 기업, 네이버나 카카오처럼 새로운 플랫폼 기업이 엄청나게 크게 성장하는 기업이 없다보니 장기적으로 유망한 투자처라는 생각은 되지 않는다. 성장률만 보면 차라리 신흥국이 낫지 않을까. 적정하게 신흥국 통화가 가치를 저점을 찍는 구간에서 성장률을 보고 투자할만한 시점이 올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일본에 투자는 글쎄..라는 생각이다.

 

 

그럼 신흥국에 투자는 어떻게 해야할까?

 

데킬라 효과라는 게 있다. 어떤 특정 국가가 위기 상황에 오면 위기가 옆으로 전이된다, 같이 취한다라는 느낌으로 알면 될 것같다. 우리가 국가를 딱히 하나하나 보지 않고 아프리카, 유럽으로 통칭해서 부르듯이 중국이나 일본에서 돈이 빠지면 한국이나 주변 아시아국가에서도 투자 자금을 회수한다. 그래서 같이 외환위기가 온다.

2022년 하반기에 주의해야할 이슈가 신흥국 외환위기 가능성인데 이게 발생하면 외국인 자금 유출이 굉장히 급격히 일어난다. 달러강세는 지속되는데 신흥국은 경기 회복기미가 아직 보이질 않고 있다. 그러니 22년 외환위기가 온다면 그게 지나고 IMF에게 구제금융조정받고 경제가 건전해지면 굉장히 좋은 투자시점이 올 것이라 생각된다. 이것이 미국 기준금리 인상의 고점, 23년 중반 정도로 흡사하게 맞물릴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고 그쯤이면 신흥국도 한계 상황에 다다를 것이라 보여진다. 그러니 개인적으로 적기는 22년 후반기, 23년 초반기정도로 생각하고 있다. 그 전까지는 위기가 계속 국면하고 있으니 좀 힘들어보이는 시점이긴 하다.

 

유튜브 댓글

 

엔화에 투자하는것은 개인이 결정해야 할 사항이지만 . . . 투자자 본인이 일본 여행가서 쓰는 정도로 엔화에 투자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동안 서양애들이 엔화에 투자를 많이 해서 . . . 엔화가 강했지만 . . . 지금은 안그런거 같습니다. 일본에 이민간다는 생각으로 공격적으로 투자하면 . . . 장기적으로 좋지 않을꺼 같습니다.

 

은행에서 신탁 els 투자 하는데 sp500 유럽스탑50 니케이 이렇게하는데 일본이 젤안전한데요? ㅠㅠ 일본증시만이 큰폭하락이 없어요 ㅠ 미국.유럽은 폭망수준

 

코멘트: 투자할 돈이 읍따..ㅠ

 

https://www.youtube.com/watch?v=DI0_SWsADNQ&list=LL&index=5&t=548s

#진인구경제연구소

#김광석교수

#일본

#엔저

#투자

#신흥국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