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그림
지독하게 승리에 집착하는 사람이 있다. 무슨 대가를 지불하더라도 승리하겠다는 집념을 가진 사람, 마이클 조던은 그런 사람이었다. 코트위에서 그는 재수없고 무례하다고 평가받았다. 시간이 지난 후 생각해보면 팀원들은 그가 최고의 동료였다고 말한다.
<더 라스트 댄스>에서 마이클 조던은 이때를 회상하며 "승리에는 대가가 필요했고 나는 팀원들에게 그들이 원치 않더라도 한계까지 요구했다"라고 했다. 종종 자신을 좋은 사람이 아닌 그저 폭군이라고 평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이해한다며 넘겼다고 한다.
그들은 이겨본 적이 없으니까
승리는 보상만 있는 것이 아니다
조던이 승리에 집착할 때 그 옆에는 그의 트레이너 팀 그로버가 있었다. 조던이 은퇴하자 그는 코비 브라이언트와 미국의 전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의 멘탈 트레이너를 맡았다. 그가 쓴 책인 <위닝>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승리가 눈부신 영광이라고만 생각한다면 당신은 이겨본 적이 없는 사람이다.
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승리를 한 단어로 평해보라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은 영광, 성공, 돈, 탁월함, 성취, 행복이라고 답했다. 반면, 정말 승리해본 이들은 혹독하다, 지독하다, 거칠다, 거침없다라고 평했다.
승리는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모든 걸 걸고 집요하게 전념해야 얻을 수 있다. 팀 그로버는 성공을 원한다면 부드럽고 예의바른 사람이 될 바에는 강단있고 앙칼진 사람이 되라고 답했다.
쓰러지면 일어나고, 목표에서 눈을 떼지 않는 지금까지와 다른 자신이 되기를 두려워하지말라
성공하기 위해 모든 것을 쏟아부을 각오가 되지 않았다면 당신은 이겨본 적이 없는 사람이고
앞으로도 이기지 못할 것이다
승리는 밑바닥에서 태어난다
승리하는 이들은 자신감이 넘친다. 그들을 보며 빛나는 자신감이 어디에서 왔는지 부러워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그들의 자신감은 깨지고 부서지면서 생겨난 것이다. 세상의 찬사와 환호가 아닌 밀쳐지고 발길질 당하며 비웃음을 받는 그때 그들은 더욱 단단해졌다.
승리한 이들은 모두 분기점이 존재한다. 마이클 조던은 고등학교 시절 학교 대표팀 선발에서 탈락했고, 역사상 최고의 쿼터백 톰 브레이디는 NFL 신인 드래프트에서 199위로 지명됐었다. 승리한 이들은 굴욕이나 좌절을 겪은 그때 자신에게 배팅했다.
당신이 정말로 승리를 원한다면 워라벨이라는 단어는 지워야한다. 워라밸은 지극히 주관적이다. 극적인 성장을 원한다면 극단적이 되어야한다. 언제나 삶에는 극단적인 순간이 있다. 수험생활, 사업초기, 프로리그 기간 등이 있을 것이다. 당신이 한번도 승리해본 적이 없다면 지금이 전념해야하는 순간일 수있다.
승리는 당신의 전부를 원한다. 강박에 가까운 전념을 원한다.
그렇지 않으면 승리는 전념하는 다른 누군가에게 떠나간다.
자신만의 업적을 남기고 싶다면 승리에 대한 정의를 마음깊이 각인해라.
유튜브 댓글
저는 미국문화중에 제일 맘에 드는것이 프로스포츠팀이 우승을 할 때 우승반지를 선수들에게만 주는줄 알았는데 그 팀에서 일하는 청소부들도 준다는걸 알게 되었을때입니다..선수들과 똑같이 이름까지 새겨서 말이죠. 그팀에 대한 애정과 소속감과 자부심이 얼마나 클지 상상이 가는 대목입니다.
"당신 눈엔 그렇죠. 이겨본 적이 없으니까" 조던이 말하니까 반박할 수가 없네요 ㅋㅋㅋㅋ
선을 넘나드니까 역대급 반열에 오른거고 선을 지키라는 사회적 통념을 지킬려고 자신의 재능을 억제시키는 대다수는 조던이 단순히 미친걸로 보일듯
코멘트: 나는 행복한 것이 성공이라고 생각한다. 승리와 성공은 동의어가 아니니 지금에 만족하는 이들은 굳이 다 버려가며 승리를 따라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승리가 클수록 대가도 크니
https://www.youtube.com/watch?v=M3Q23aAZ_wo&list=LL&index=32
#위닝
#마이클조던
천재들이 어려운 개념을 빠르게 배우는 학습법 (0) | 2023.08.26 |
---|---|
공대장 출신들이 성공할 수 밖에 없는 매우 합리적인 이유 (0) | 2022.10.24 |
상위 0.01% 학생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어쩌다 어른) (0) | 2022.09.07 |
만나던 여자가 다른 남자와 성관계를 맺었습니다... (0) | 2022.06.28 |
그 누구나 뛰어난 생각을 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0) | 2022.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