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류 후버만 Andrew
우리는 매분매초 무언가를 듣고, 보고, 느끼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에 대해 일부분만 느낄 수 있다. 그것을 인식이라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무슨 일이든 집중을 매우 잘한다. 그것은 일을 받으면 그냥 그걸 해야한다는 생각의 프로세스가 있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들은 "이건 중요한 일이야"라고 되뇌이며 마음 속으로 싸워야 집중을 한다. 그것은 내부적으로 중요도를 설정하려고 하는 생각때문이다.
우리는 왜 집중하지 못하는가
집중의 공백에 대해 Waldo Task를 예로 들어 설명하려한다. Waldo Task는 비슷한 특징을 가져 헷갈릴 수 있는 것들 중에서 찾고자하는 대상을 찾는 Test이다.
만약 그 대상을 찾았다면 당신의 신경계는 기쁨을 느끼는 물질을 분비한다. 그리고 그 순간에 당신은 찾는 행위를 멈춘다. 그때 당신은 찾은 대상옆에 있는 같은 대상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즉, 당신이 찾고 있던 무언가를 발견하면 집중에 공백이 생기는 것이다.
우리는 항상 이 집중의 공백을 가지고 있고, ADHD환자들의 경우에는 그 정도가 심하다(어른아이관계없다).
집중력을 영구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
파노라마 시야로 대상을 생각하기
이 말을 한 의의는 무언가를 찾거나 특정 대상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면 다른 정보들을 놓치게 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집중에 실패하는 것은 결과다. 특정 대상에 과하게 집중하다보니 다른 것을 놓치는 것이다. 때문에 이들에게는 열린 시각이 필요하다.
파노라마 시야(전체적인, 넓은 시야)라고 불리는 열린 시각은 집중력을 향상시킨다. 앞을 바라보며 시야를 넓혀 천장과 벽을 동시에 바라보는 것처럼 말이다.
파노라마 시야는 눈에서 뇌로 가는 특정 신경회로들을 중재하는데 이는 그저 시야를 늘리는 것뿐만이 아닌 사건을 처리하는데 있어 프레임 개수를 늘린다.
이는 슬로우 모션 영상와 일반 영상을 비교하는 것과 비슷하다. 같은 영상임에도 슬로우 모션 영상이 느려보이는 이유는 프레임 개수가 많기 때문이다.
명상하기
한 실험에서 실험자들에게 15분가량의 시간동안 특정한 감정을 갖지 않고 가만히 숨 쉬는 것에 집중하고 그에 대해 몸이 어떻게 느끼는지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였다.(즉, 명상)
별 거 아닌 것 같지만 놀랍게도 단 한번의 명상만으로 집중의 공백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고, 이는 거의 영구적인 수준이었다. 심지어 다른 훈련없이도 말이다.
외부에서 오는 감각정보를 줄이고, 내부의 상태(호흡)에 집중하는 것을 연습하게 되면 특정 혹은 여러 대상을 찾을 때 인식이 향상된다.
사람은 나이가 들며 뇌의 기능이 떨어져 기억력이 감소하고 집중력이 떨어지는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하루에 15 ~ 20분가량의 명상을 통해 노화에 따른 인식의 감소도 보완할 수 있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qBNKY_XQyug&list=LL&index=3&t=7s
#숨겨진지혜:HiddenWisdom
#앤드류후버만
#뇌과학
#스탠포트
영업하면서 꼭 피해야 할 TOP5 (1) | 2024.04.07 |
---|---|
라따뚜이 속에 숨겨진 이면 (0) | 2023.10.13 |
전설적인 심리학자의 정색.. '1000억 부자'가 되는 '2가지' 원리 (0) | 2023.07.02 |
실리콘밸리 인턴에서 대표까지 14년 동안 깨달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 (0) | 2023.06.25 |
완벽주의는 비즈니스의 가장 해로운 적입니다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