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인구경제연구소
나스닥기준으로 연초고점대비 10%덜 오른 상태고 작년 11월로 따지면 20%덜 오른 상태다. 많이 회복했다. 그래서 사람들이 악재가 해결된 것도 별로 없는데 이게 진짜 반등인건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을 벌이고 있다. 내가 보는 관점은 이렇다.
나스닥 반등에 대한 지표
구리가격
구리와 나스닥의 지수관계이다.
나스닥이 반등할 때 구리는 호응하지 않었던 때가 있었지만 7월 중순부터 한달 동안 계속 커플링(방향이 같이 감)되고 있다. 구리는 산업용으로 쓰여 경기활황에 대한 지표로 자주 쓰인다. 큰 관점으로 보면 경기 침체가 회복되는 과정 중 하나라고도 생각된다.
베어마켓탈출 수익률
평균적으로 20%넘게 상승하면 하락장에서 벗어났다는 신호이다. 닷컴버블 때에는 20%이상 상승하고 다시 하락해 사람들이 돈을 많이 잃기는 했지만 이외에는 20%넘게 상승하면 더 상승했다라는 지표들이 더 많았다.
애플 주가
애플은 이미 작년 고점 수준으로 주가가 올라왔다. 이를 통해 거시적으로 보면 대형 빅테크 중에서 실적주들이 지수를 끌어올렸다고 볼 수 있다. 소형주, 중형주 등이 아닌 돈 잘 벌고 성장 잘하는 주식에 돈이 쏠리고 있다.
물가지수
물가가 하락하고 있다. 근원소비자 물가도 하락하는 추세이고 유가도 떨어지고 있어 향후 소비자물가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CPI에서 3~40%를 차지하는 렌트비가 금리와 함께 오르고 있어 걸리는 부분이 있다. 집값이 잡혀야 렌트비를 같이 끌어내릴 수 있으니 부동산이 꺾여야한다. 금리 인상의 경우 3개월 뒤부터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지금부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원유투기적포지션의 감소
투기적 포지션이 주는 것은 원유가격과 상관없이 이제 원유가격이 더 상승한다고 보지 않는 투자자가 늘고 있다는 증거이다. 이는 경기침체가 올 때도 같은 현상을 보이기에 현재는 물가가 잡히는 신호와 경기침체 신호가 같이 보여지고 있다라고 보면 될 것 같다.
시장이 생각하는 것들과 알아보아야 할 것들
물가가 떨어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 고위험수준의 수치이기에 전문가들이 가짜반등이라고 하는 것 같다. CPI가 5%대로 내려와야 투자자들은 물가가 잡혔다고 확신할 것이다. 지금같은 경우에는 물가가 조금 잡혔다는 신호에 바닥이라고 생각하고 투자자들이 잡혔다고 예상하고 막 사들인 것 같다. 이제 중요한 관점은 금리인상의 정점은 어딘가이다.
파월이 7월에 중립금리를 2.5%라고 했다. 중립금리는 오르면 경기침체고 떨어지면 물가가 치솟으니 가장 이상적인 상태를 뜻한다. 하지만 9월 금리인상은 0.5%로 보여지는 시각이 많고 연준이 이야기하는 3.5 ~ 4%를 향하려면 11, 12월에도 큰 금리인상을 해야하니 중립금리와 멀어진다. 시장은 3 ~ 3.25%수준으로 금리인상을 보고 있는 것 같다.
내년에는 금리와 별개로 물가가 잘 잡히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최근에 바이든이 500조 이상을 푸는 인플레 감축안을 내고 있기에 유가가 내년에도 내려갈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든다. 고물가에서도 기업이 돈을 잘 벌면 증시는 오른다. 물론 엄청나게 어려운 일이다. 그러다보니 몇개의 소수 기업만 주가가 오르는 현상이 벌어지는데 이 현상에는 국가가 밀어주는 정책의 영향이 크다. 그러니 이에 대해서 잘 알아보고 투자하는 것이 좋을 것같고 현재 투자하는 기업이 경기침체에서도 성장하는지 인플레를 이겨낼 수 있는지를 알아봤으면 좋겠다.
인플레를 막기 위해 560조를 푸는 미국
전인구경제연구소 원제:인플레를 막기 위해 560조를 풀겠다는 바이든의 의도는? 경제는 순리대로 해결하는 ...
blog.naver.com
유튜브 댓글
연준에 덤비는것 보다 더 덤비지 말아야하는것은 미국선거..미국선거 위에 있는건 아무도 없다
올 연말이 힘들거라고 예상 중간선거 전까진 어떻게든 버틴다 봐야됨ㅋㅋ 근데 버티는게 아니라 상승 모멘텀 받으면 내년1~2월부터 다시 하락 올겁니다 빠르면 올 연말
코로나이후 연준에서 제로금리하고 돈을 풀 때는 V 자반등 설명이 되었는데.. 지금은 돈을 거둬들이는 상황에서 V 자 반등은 있을수 없을듯 하네요.
코멘트: 레버리지 조절 다 해놨더니 오지게 상승하네. 아쉽긴하다.
#나스닥
#증시
#반등
환율이 위험합니다 (4) | 2022.08.21 |
---|---|
금리를 내리는 중국? 다음 위기는 중국에서 올까 (0) | 2022.08.20 |
인플레를 막기 위해 560조를 푸는 미국 (0) | 2022.08.08 |
진짜 40년만의 역대급 물가상승 터진 미국 현상황ㄷㄷ 금리를 10%올린 1980년도는 어땠을까? (0) | 2022.08.04 |
그냥 오르는 건 없습니다 파월은 힌트를 줬습니다 (0) | 2022.07.29 |